본문 바로가기
2차전지, 전기차

[집중투자] 피엔티(137400) K-베터리장비 대장주

by ☎*㈜ㅁㅇ 2022. 7. 9.
반응형

 

 

피엔티는 2003년에 설립된 회사로 Roll to Roll 기술을 바탕으로 IT용 소재, 2차 전지의 음극 및 분리막 소재, Copper 등의 코팅 및 슬리터 장비의 제작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으며, 해당 사업은 모든 2차 전지 제작의 필수 산업으로 2차 전지산업의 중심 사업이라 할 것입니다

 

 

회사명: (주)피엔티

대표: 김준섭

사업자등록번호: 513-81-32083

사업장 주소: 경상북도 구미시 첨단기업로33

 

목차

  • 기업 전망
  • 산업 전망
  • 결론

 

<기업 전망>

 

피엔티는 향후 매출 가시성이 가장 높은 기업으로 피엔티의 수주 잔고 규모는 국내 장비 업종에서 가장 많습니다.

9천억 수준의 수주 잔고에서 2022년 상반기에 공시로 발표된 수주 금액만 13천억 이상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경쟁력 관점에서도 매력적인데, 선도적인 위치에 있는 일본 장비 업체와 기술적인 차이가 없으며, 중국 업체들은 아직 장폭 코터에 대한 노하우가 쌓이지 않았습니다.
그렇다면 기술력과 대응력 측면에서 피엔티의 코터 경쟁력은 지속될 것으로 판단되고 글로벌 경쟁력을 통하여 수주의 지속도 계속되리라 전망됩니다.

 

 

 

 

 

<산업 전망>

(1) 끝없는 기대감의 2차 전지 베터 리셀 산업

글로벌 배터리 장비 산업의 구조적 성장이 빨라지고 있는 가운데, 전 세계적으로 배터리 장비의 시장의 발전은 2021년도부터 2025년까지 연평균 44% 성장하여 51조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베터 리셀의 산업은 전 세계적으로 한국과 중국이 양분하고 있는데 이 같은 강력한 구도는 상당기간 지속될 것으로 파악되고 있으나 유럽 및 기타 셀 신규 업체들의 증설도 가시화되기 시작함에 따라 베터 리셀 산업의 경쟁은 시작점에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베터리셀 시장 중에서도 한국 셀 업체에 대응하는 장비 시장의 성장률이 미국 시장의 개화에 맞물려 가장 높을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장비 발주 사이클에서도 한국 업체들의 두각이 돋보일 것으로 추정됩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한국과 중국이 전 세계적으로 베터리셀 산업과 관련하여 양분하고 있는 가운데, 중국의 미국 시장 진출이 제한적입니다. 최근 미상무부가 33개 중국 업체를 포함한 수출통제 기업 목록 UVL(미검증 리스트)를 발표한 바 있습니다. 미국-중국의 정치적 리스크가 해소되기엔 다소 시간이 소요될 것이며, 국내 장비 업체들의 상대적 수혜가 기대됨에 따라 한국의 베터리셀 산업의 전망이 밝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편, 유럽의 셀 신규업체들의 생산능력 전 망토 한 높은 수준으로 발전하리라 예상됨에 따라 국내 배터리 장비산업의 수주가 지속적으로 나오게 될 것으로 파악됩니다.

 

 

 

 

 

(2) 피엔티의 위치

 

앞서 언급했듯이 전극 공정 코터를 국내 최초로 국산화한 피엔티의 수주는 지속될 것으로 판단되며,
국내 3사 베터리셀 업체와의 연관성도 돋보인다 할 것입니다. 뿐만 아니라 중국의 베터리셀 업체와도 공급계약이 지속적으로 체결되고 있는 바, 국내 배터리 장비업체중 가장 독보적인 기술력이 인정된 기업으로 베터리셀산업의 가장 중심에 있는 장비기업이라 할 것입니다.

 

 

 

 

 

과거 기술력 우위에 있던 일본 장비 업체와 비교할 때 피엔티의 가격과 기술력은 이미 비슷한 수준으로 판단되며, 국산화에 성공한 피엔티는 기술력과 대응력 측면에서 히라노보다 우세할 것으로 예상되고,
피엔티와 히라노의 수주잔고 추이를 고려해 본다면 추후에도 피엔티의 수주 잔고가 보다 가파르고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결론>

 

피엔티는 R2R Tech 경쟁력을 지니고 있어 동박 6마이크론 최초 R2R 개발을 통한 베터리셀산업의 중심산업일 뿐만 아니라, 동박 생산 설비 등 다양한 R2R 기반 장비 사업이 전망됨에 따라 향후 미래산업에서 그 가치가 두드러질 것으로 보이며, 로봇 및 항공산업의 영향도 미치리라 판단됩니다.

 

 

 

 
반응형

댓글